[병원코디네이터] 병원코디네이터과정 - 병원코디네이터, 의료관광 통역 코디네이터, 관광통역가이드의 차이점이 무엇인가요?
병원코디네이터는 주로 일반병원.치과병원.성형외과.안과.한의원 등에 소속되어 일하며, 병원과 고객간의 다리 역할을 하기도 하고 병원 내부 직원간의 다리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즉, 병원방문 고객에 대한 상담.불만족 관리, 전화 예약업무, 고객의 움직이는 동선관리.조명.대기장소내 서비스관리 등 병원의 환경 개선 그리고 병원 홍보.PR과 병원 직원의 고충처리, 경쟁병원의 서비스 경쟁력 분석 등을 주 업무로 하고 있습니다.
의료관광통역코디네이터는 코디네이터란 말이 들어가서 병원코디네이터와 비슷해 보이지만 조금 다른 영역입니다.
주로 외국인 환자에 대한 서비스 관리를 맡게 됩니다. 병원에 소속되어 일하는 경우와 프리랜서로 일하는 경우로 나뉘어 집니다. 주로 의사.간호사와 환자간의 의사소통을 도와주고 있습니다. 현재 영어.일본어.중국어 사용 가능한 의료관광통역코디네이터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의사.간호사와 환자간의 의사소통뿐만 아니라 외국인 환자가 우리나라를 방문했을 때, 공항에서 영접하고 호텔로 모시고, 숙박 check in 확인해 주고, 병원으로 이동하고, 입원 수속 도와주기도 하고, 간단한 시술인 경우는 시술 이후의 여가.관광을 할 때 동반하면서 의사소통을 도와주는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일하는 영역이 병원서비스 통역과 일반관광통역이 혼합된 형태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일반관광가이드는 일반관광객을 관광안내해주는 영역만을 맡고 있어서 의료관광통역코디네이터와는 조금 다릅니다. 병원에 소속된 의료관광통역코디네이터는 의료관광객을 대상으로 관광가이드역할을 전혀 하지 않게 됩니다.
병원에 소속되어 일하는 의료관광통역코디네이터든 프리랜서로 일하는 의료관광통역코디네이터든 관계없이 의료관광통역코디네이터가 되기 위해서는 병원내에서 사용되는 의학용어를 아실 필요가 있습니다.
아주 어려운 수준까지 깊게 들어가는 것은 아니지만, 의사소통할 때 도와줄 수 있을 정도는 되어야 합니다.
취업성공하기 http://cafe.naver.com/jobhouse 모든 면접 자료는 취업성공하기와 함께해요~
댓글 영역